이 종 순 (농민신문 부장·언론학 박사)
농업·농촌에 대한 정보화가 범정부적으로 추진돼 왔지만, 농촌과 도시 간 정보격차는 여전하다.
정보격차(情報隔差, Digital Divide)란 정보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 사이에 경제적·사회적 격차가 심화되는 현상 등을 말한다.
농촌은 컴퓨터 보급률에서부터 인터넷 이용률 등 정보화 지표가 도시에 비해 뒤지고 있다.
여기에 농촌인구의 고령화 특성상 젊은 층이 많은 도시에 비해 정보 활용도 미흡한 실정이다.
행정안전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우리 사회의 정보소외계층(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실시한‘2010년 정보격차지수 및 실태조사’ 결과, 농어민들의 평균 인터넷 이용률은 37.5%로 전체 국민들의 평균 이용률인 78.3%에 비해 크게 뒤졌다.
농어민들의 컴퓨터 보유율도 60.3%로 전체 국민(81.8%)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농어민들의 정보화수준은 61.8%로, 저소득층(80.5%)에 비해서도 뒤지고 있다.
물론 과거에 비해 농어민들의 인터넷 이용률이 높아지는 등 정보화가 진전되고 있기는 하다.
농어민들의 인터넷 이용률이 2006년 29.4%에서 2007년 33.4%, 2008년 35.2%, 2009년 36.2%로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보격차는 정보격차로 끝나지 않고 소득격차나 사회·문화생활의 격차로 확대, 재생산되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농업 생산과 인터넷을 결합시켜 정보화 영농을 실천한 농업인들의 소득증가는 그렇지 않는 경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생산자인 농업인들과 인터넷을 비롯한 정보화 영농이 결합하면 소득 증가율이 도시민들에 비해 높아 인터넷 등 정보화영농이 농업인들의 새로운 소득 증가원이 돼 가고 있다.
농업인들이 인터넷 등 정보화 영농으로 소득을 높이는 방법으로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신속한 정보획득을 통한 농산물 적기출하, 영농기술 획득을 통한 생산비 절감 등이 대표적이다.
실제 인터넷 등 정보화 영농을 통해 소득을 창출하고 있는 농업인들은 고정고객 등 판로를 확대하고, 농장의 질적·양적 성장을 가져왔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농업인들의 소득증대와 삶의 질 향상은 물론 ‘정보평등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농촌지역 정보화에 박차를 가해 나가야 한다.
미래의 농업·농촌 정보화의 성과는 정보 인프라를 얼마나 잘 갖추고 있느냐 보다는 농업인들이 이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해 소득증대와 삶의 질 향상 등에 실질적으로 활용했느냐에 따라 좌우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지역과 연령에 관계없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구축하고, 정보기기 개발과 농업종합정보체계 등 농촌 정보화의 질적 수준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특히 영농에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콘텐츠 개발 등 다양한 수요에 부응하는 정보 콘텐츠의 개발과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
또 농업인들이 실제로 필요로 하는 부문을 찾아내 실천성 있는 서비스 체계도 확립해 나가야 한다. 그래서 정보 공급기관의 관리와 편의보다는 농업인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고객 중심의 정보화로 방향의 전환이 요구된다.
고령인구가 많은 농촌의 특성을 반영해 방문과 순회 교육 등 다양한 맞춤형 정보화 교육 확대도 필요하다. 이와 함께 전국 농어촌에 위치한 ‘정보화마을 정보센터‘ 등을 활용해 농업인들에 대한 정보화 교육을 강화하는 것도 빼 놓을 수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