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11-15 격주간 제793호>
[4-H강단] 한국4-H운동의 과거와 미래①

정기환 박사 (한국농촌발전연구원장)

1. 들어가면서

1960년대까지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낙후된 나라 중 하나였다. 1961년 1인당 GNP가 고작 81달러였고 배고픔과 가난이 일반적이었다. 음주와 도박이 만연했고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절망적이었다.
그러나 한국경제는 1962년 이래로 급속히 변했고 2000년도에 선진 산업국가가 되었다. 한국은 1996년에 OECD 회원 국가가, 2010년에 OECD/DAC 회원 국가가 되었다. 1인당 GNP가 2012년 2만4445달러까지 성장했고 세계 무역량 7위를 차지했다. 많은 한국인은 단기간에 높은 경제 성장과 가난 근절이 가능했던 요소 중 하나가 새마을운동이라고 이야기 한다.
1971년에 한국 정부는 농촌에 시멘트 335포대와 철근 500kg을 분배했다. 정부는 시멘트 사용에 대한 지시사항을 주지 않았고 어떻게 공동체를 위해 재료를 사용할것인지 물었다. 마을 주민들은 의논하기 시작했고 재료를 어디에 사용할지 정했다. 1972년 말, 정부는 마을 별로 성과를 관찰했고 마을의 절반이 마을 발전을 위해 올바른 방법으로 재료를 사용한 것을 발견했다. 정부는 두드러진 결과를 이룬 마을에게 보상했다. 한국 정부는 그것을 새마을운동이라 이름 지었고 이러한 방식으로 시작하여 1973년 이래로 나라 전체에 급속히 확대되었다.
1982년 말까지 시골 지역에 새마을운동은 두드러진 결과를 이루었다.
1971~82년까지 대부분의 농촌 도로가 개선됐고 마을 사람들이 작은 다리를 짓고 새마을운동으로 마을 회관과 집을 재건축했다. 대부분 시골길이 차로 갈 수 있게 되었고 모든 마을에 전기와 전기통신이 설치됐다. 대부분의 시골 마을이 급수배관시스템을 설치하고 화장실을 개조하고 소득확대 프로젝트를 착수했다.
1983년에 농촌 가정 수입은 도시 노동자 가정 수입을 뛰어넘었다. 따라서 한국의 가난이 상당히 뿌리 뽑혔다.
 어떻게 한국의 새마을운동이 성공적으로 시행 되었고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시골 지역의 가난을 해소할 수 있었을까? 새마을운동의 성공 비결의 2가지 중요한 요인을 알아야만 한다. 첫째로, 개인적인 이익을 희생하여 스스로를 마을 발전에 기여하는 새마을운동의 지도자로 불리는 공동체 지도자의 역할이다. 또 다른 하나는 농부에게 선진 농업 기술의 변화가 성공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한국 4-H는 지역발전에 매우 기여하였고 특히 지도자를 육성하고 시골의 사회 공공시설을 개선하고 농촌에 선진 농업 기술 전수를 통하여 새마을운동의 성공에 기여했다.

2. 한국 4-H운동의 역사 요약

공식적으로 한국의 첫 4-H클럽은 경기도 도지사 구자옥씨와 다른 지도자에 의해 1947년에 설립되었다. 특히 당시 미 군정관이었던 찰스 앤더슨이 한국에 4-H클럽을 소개했다. 초기 단계에 4-H클럽은 경기도에 처음 조직되었고 점차 다른 지역에 확대되었다. 그러나 4-H클럽 활동은 1950년 한국 전쟁으로 중지되었다.
한국의 4-H클럽은 전쟁으로 황폐화된 지역 경제를 재건하고 농업 생산을 북돋으려는 목적으로 정부가 지원하여 1952년 재조직되었다. 4-H회원은 농업 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해 시범농장을 운영하고 소득증대를 위한 신기술을 채택하면서 시골 도로 재건과 같은 마을 재건에 참여했다.
4-H클럽 활동에 대한 정부의 지원은 1957년 농촌지도사업법과 1961년 농촌진흥법을 제정함으로 강화되었다. 농촌진흥법에 따라 4-H클럽의 육성, 4-H프로젝트를 통한 선진 농업 기술 전수, 후계 농업인력의 역량 구축은 한국 정부의 중요한 지도 사업이 되었다. 집중적인 농촌지도사업으로 4-H클럽 활동은 1960년대 이래로 나라 전체에 급속히 확대 되었다.
1955년 설립된 한국4-H구락부중앙위원회(한국4-H본부 전신)가 1958년 사단법인으로 등기를 마쳤고, 1959년 4-H연합회가 각 지역, 지방에 조직되었다. 1988년 4-H지도자, 한국사회의 영농 경영자와 각계 후원인사 등으로 구성되어있는 한국4-H후원회가 한국의 4-H클럽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2001년 한국4-H후원회는 4-H관련 조직과의 통합을 거쳐 한국4-H본부로 개명하였다. 1970년대까지 한국의 4-H활동은 정부 차원에서 대부분 지원했지만 2001년 한국4-H본부의 설립으로 4-H클럽의 활동은 민간 부문으로 대치되었다.
한국의 4-H클럽의 개수는 1970~1980년대에 정점에 이르렀다. 그러나 한국의 4-H클럽 활동은 1990년대 이래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이것은 시골 인구 감소 때문이었다.
2007년에 한국4-H활동을 재활성화하기 위해 ‘한국4-H활동 지원법’을 제정했다. 법에 의해, 한국4-H는 정부의 재정적, 행정적, 기술적 지원을 받아 재활성화 될 기회가 생겼다.
그러나 한국4-H는 4-H클럽과 회원 숫자의 급격한 감소, 농촌 인구 감소, 국가 경제에서 농업분야의 하락과 같은 급격한 환경 변화에 적응해야 하는 큰 과제에 직면했다. 결과적으로 목표와 같은 4-H클럽 활동의 방향 전환과 한국 4-H클럽 활동의 과제는 장래 발전을 위해 필연적이었다.

3. 왜 4-H클럽 활동은 한국에서 성공적으로 채택되었나?

비록 1990년대 이래로 한국4-H활동은 감소했지만 여전히 한국4-H클럽이 성공적으로 한국 사회에 채택되고 있고, 그토록 나라 전체에 급속히 확대 되었는지는 불가사의한 일 중 하나다. 몇몇의 한국인은 농업지도사업법과 농촌진흥법을 기반으로 한 정부의 노력이 한국4-H클럽 활동의 성공적인 적응과 확대를 위해 중요한 가속도를 제공했다고 말한다. 의문점에 대한 좋은 답변 중 하나임에 틀림없지만, 공동체와 나라에 기여한 청년 활동은 한국사회의 오랜 역사적 전통이라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건강한 신체와 애국심을 기르기 위한 청년 교육이 한국 역사 1세기 초 이래로 발견된다.
신라시대 6세기 이래로 ‘화랑’이라는 청년 집단이 조직되었고 ‘사군이충(국가에 충성하고), 사친이효(부모님에게 효도하고), 교우이신(벗을 믿음으로 사귀고), 임전무퇴(전쟁에서 후퇴하지 않으며), 살생유택(정의 없이 살아 있는 것을 죽이지 않는다)’이라는 정신적 덕목을 가르쳤다. 화랑의 정신은 행동 지침으로서 현대 한국의 청년에게 계속 이어져왔다. 그러므로 나라가 어려움에 처하거나 적이 침범했을 때 청년은 나라를 구하기 위해 앞장선다.
한국은 1910년 일본 침략으로 통치권을 잃었고 1910~1945년 동안 일본의 식민지로 고통 받았다. 35년간의 우울한 시간 동안 청년은 사람을 계몽하고 선진 기술을 채택하여 청년을 교육하고 공동체 발전 활동에 가입하는 민중수준의 단체를 조직했다. 그런 계몽활동은 나라 전체에 확대되어 결국 일본 식민지로부터 독립운동으로 연결 되었다.
한국이 1945년 독립했을 때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였다. 4-H클럽이 1947년 한국에 소개 되었을 때 4-H활동은 개인 회원의 잠재성을 계발할 뿐 아니라 배고픔과 가난의 극복을 다루었다.
한국의 4-H클럽 활동은 1950년 전쟁의 발발로 중지되었다. 한국은 1948년 두 개의 정부 즉, 자본주의가 토대인 남한과 공산주의가 토대인 북한으로 나뉘었고 1950년 결국 두 이상론의 충돌로 결국 전쟁이 일어났으며 3년간 지속되었고 결국 한국의 사회와 영토는 파괴되었다.
전쟁 직후 한국 청년은 전쟁으로 황폐해진 경제를 회복하고 사회 재건을 위해 무언가를 해야만 했었다. 4-H클럽이 한국에 소개되었을 때 4-H클럽 서약에서 ‘나는 나의 머리로 더 청명한 생각을 나의 마음으로 더 큰 충성을, 나의 손은 더 큰 봉사를, 나의 건강은 더 나은 삶을, 클럽, 공동체, 나라를 위해’라고 맹세하고 마을, 공동체 나라를 재건하는데 기꺼이 기여하려는 대부분의 청년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심지어 ‘좋은 것을 더욱 좋게-실천으로 배우자’라는 미국에서 시작된 4-H클럽의 모토와 서약이 한국 시골 청년에게 낯설지 않았으며, 공동체의 좋은 농업인과 지도자가 되기 위해 스스로를 육성하기 위해 4-H클럽에 가입했다. 4-H회원은 농작물 생산량을 늘리는 방법과 더 나은 공동체를 만드는 방법을 배웠다. 그들은 스스로 프로젝트에 착수하여 시골 공동체를 재건하고 자원하여 작업에 참여했다. 또한 프로젝트에서 배운 것을 공동체의 농부에게 선진 농업 기술을 전수하는 대리인이 되었다. 4-H활동은 개인 4-H회원의 잠재성을 계발하고 장래 공동체 지도자 리더십 함양의 기초가 되었다. 4-H활동은 1970~1980년대의 양질의 인력자원 공급을 통해 한국의 경제적 발전에 기여했다.

※이 글은 제1회 글로벌4-H네트워크 세계대회 한국세션에서 발표된 내용을 요약·정리한 것으로 2회에 걸쳐 싣는다. <편집자 주>

목록
 

간단의견
이전기사   4-H다이어리
다음기사   글로벌 위기 해결 위한 4-H운동 새로운 100년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