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엔 베옷을 입고, 겨울엔 털옷을 입는다
夏葛而冬(하갈이동구)
- 《근사록(近思錄)》 중에서"
피서(避暑)는 더위(暑)를 피해(避) 시원한 곳으로 옮겨가는 것을 뜻한다. 그런데 농사를 짓는 사람들에게 있어 여기저기 옮겨 다니는 것은 익숙하지 않은 일이었다.
예로부터 목축을 하는 사람들은 가축들이 초원의 풀을 다 뜯어먹어 주변이 황무지로 변하면 풀이 무성한 곳으로 자리를 옮겨야 했다. 혹은 적의 공격을 받거나 질병으로 가축들이 다 죽으면 다른 부족들이 키우는 가축을 약탈하기 위해 먼 길을 떠나곤 했다. 옮겨 다니는 게 익숙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농사를 짓는 사람들은 달랐다. 자기가 일군 논밭을 떠날 수 없었다. 자연재해나 전쟁으로 농사를 망쳤더라도 씨앗만 잘 보관하고 있다면 내년을 기약할 수 있기에 그들은 한번 정착한 곳을 버리는 일은 하지 않았다.
근거지를 버리고 떠나는 경우는 자신이 잘못을 저질러 주변 사람들에게 내쫓김을 당하는 게 고작이라고 할까. 특히 사람들의 도움이 없으면 농사를 제대로 지을 수 없기에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는 그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었다. 그러므로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하는 게 습관이 되어 버렸다. 개인주의는 발붙일 수 없었다.
이런저런 이유로 그들은 떠나지 않고 견디는 DNA를 지니게 된 것이다. 그렇기에 유가(儒家)에서는 피서(避暑)가 아닌 망서(忘暑) 혹은 승서(勝暑)를 내세우곤 한다.
망서(忘暑)는 더위(暑)를 잊는(忘) 것이고, 승서(勝暑)는 더위(暑)를 이겨내는(勝) 것이다. 이긴다고 하여 더위와 싸운다는 뜻이 아니다. 적이 쳐들어왔을 때, 성문(城門)을 단단히 걸어 잠그고 일절 대응하지 않고 견뎌내는 것이다. 그 시간이 길어지면 적은 제풀에 지쳐 후퇴하게 된다. 중요한 것은 얼마나 오랫동안 단단하게 나를 지켜내는가의 문제일 뿐이다.
더위에 대응을 하지 않으니 망서(忘暑)가 되고, 그렇게 견뎌내니 가을이 다가와 여름은 물러난다. 그러니 싸우지 않고도 이기는 승서(勝暑)가 아니겠는가.
조선의 임금 중에 가장 뛰어난 리더십과 심오한 통치철학을 겸비했던 정조(正祖)의 예를 살펴보자.
정조가 거주하던 창덕궁 관물헌(觀物軒)은 궁궐 안에서도 무척이나 더운 곳이었다. 이에 신하 중 한 사람이 정조에게 “여기는 너무 더우니 서늘한 곳으로 옮기는 게 어떻겠습니까?”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조는 단호하게 고개를 저으며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지금 이곳을 버리고 서늘한 곳으로 옮긴다고 하여 더위가 없어지겠습니까? 그저 조금 더위가 덜할 뿐이겠지요. 그러나 또 거기서 지내다보면 다시 더위를 느끼게 될 것입니다. 그러면 또 조금 더 서늘한 곳으로 옮기고 싶은 생각이 들겠지요? 그렇게 계속 옮겨 다닐까요? 그건 아니지요. 여름이면 더운 게 정상입니다. 여기서도 정신을 집중하여 책을 읽다보면 더위는 잊을 수 있습니다.”
기다리면 서늘한 가을이 온다. 억지로 서늘한 곳을 향해 달려갈 필요가 없는 이유다. 유가(儒家)에서 흔히 말하는 것 중에 “여름엔 베옷을 입고, 겨울엔 털옷을 입는다(夏葛而冬)”라는 것이 있다. 이는 도가(道家)와 유가(儒家)의 차이점을 설명할 때 주로 사용되는 말이다. 도가(道家)에서는 고통에서 벗어나 신선(神仙)이 되기 위해 기기묘묘한 기술을 사용한다고 하는데 이를 ‘방술(方術)’이라고 한다. 그러나 유가(儒家)에서는 신기하고 묘한 기술을 사용하지 않는다. 상식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사용할 뿐이다. 여름에는 시원한 옷을 입고, 겨울에는 따스한 옷을 입으며, 배고프면 밥을 먹고 목마르면 물을 마신다. 이를 적절히 조절하면 자연스럽게 건강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실에서 도피하지 않고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법을 찾는다. 더위도 피하지 않는다. 다만 견뎌서 이겨낼 뿐이다.
〈이도환 / 아동문학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