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놀이하고 바람 쏘이며 콧노래 흥얼거리다 오렵니다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욕호기 풍호무우 영이귀)
- 《논어(論語)》 중에서"
사람이 본래 지니고 태어난 바른 마음을 되찾아 간직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더욱 크게 키워내는 것, 그것이 유학(儒學)의 가르침이다. 그렇다면 바른 마음이란 무엇일까.
퇴계가 선조에게 올린 ‘성학십도(聖學十圖)’를 보면 바른 학문에 대한 10가지 그림이 나온다. ‘성학십도(聖學十圖)’는 17세의 나이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선조에게 주는 68세 노학자의 충고였다.
선조는 별다른 정치적 입지도 없었고 정통성도 별로 없는, 왕가(王家)의 방계혈통을 이어받은 사람 중 하나에 불과했지만 퇴계는 당대 최고의 학자로 추앙받던 사람이었다. 그런 퇴계가 선조에게 해준 충고는 구체적으로 무엇이었을까.
그가 선조에게 올린 ‘성학십도’에는 ‘심학도(心學圖)’라는 그림이 등장한다. ‘심학(心學)’이란 ‘마음을 바르게 가다듬는 공부’ 정도로 풀이할 수 있다. 그 그림을 보면 도심(道心), 본심(本心), 양심(良心)과 함께 ‘적자심(赤子心)’이 나온다. 본심(本心)과 도심(道心), 양심(良心)은 모두 본래 지니고 있던 바른 마음을 뜻하는 것이다.
그런데 ‘적자심(赤子心)’은 무엇일까? ‘적자(赤子)’란 갓난아이를 뜻한다. ‘적자심(赤子心)’은 갓난아이의 마음, 우리가 흔히 말하는 동심(童心)과 같은 것이다. 당대 최고의 학자가 임금에게 ‘동심’을 가지라고 충고하고 있다.
따스한 봄날, 5월이 왔다. 조금만 지나면 ‘어린이날’이다. ‘어린이날’을 단순히 어린이들을 위한 날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어린이날’은 어른을 위한 날이기도 하다. 사람이 본래 지니고 태어난 바른 마음, 잃어버린 동심(童心)을 되찾는 날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어느 날, 공자가 제자들에게 이렇게 물었다.
“모두들 평소에 ‘세상이 나를 알아주지 않는다.’고 투덜거리던데, 세상이 너희들 실력을 알아주는 때가 오면, 너희들은 무얼 어떻게 할 것이냐? 솔직하게 말해보아라.”
그러자 자로(子路)가 먼저 말을 시작했다.
“지금 우리나라는 강대국들 사이에 끼어 어려움에 처해 있습니다. 그러나 저에게 기회를 준다면 저는 3년 안에 우리나라를 강한 나라로 만들 자신이 있습니다.”
자로의 대답을 들은 공자는 빙그레 미소를 지었다. 한 사람이 입을 열자 이어서 다른 제자들의 대답이 이어졌다.
“저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저는 공무원이 되어 나라를 위해 작은 일이라도 성실하게 하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정치지도자가 되겠다는 사람부터 공무원이 되겠다는 사람까지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그런데 아들인 증삼(曾參)과 함께 공자 밑으로 들어와 공부하던 늦깎이 제자인 증점(曾點)은 들은 척도 아니하고 작은 소리로 거문고만 퉁기고 있었다. 공자가 그 모습을 보고 그에게 콕 찍어 물어봤다. “너는 어떠하냐?”
그러자 증점은 “저는 다른 사람들과 좀 다르고 이상한데….”라며 머뭇거리다가 이렇게 말했다. “봄이 무르익은 늦은 봄날, 가뿐한 옷차림으로, 젊은 친구들 대여섯 명과 어린아이 예닐곱 명과 어울려 물놀이 가서 첨벙거리며 노닐고, 시원한 바람을 쏘이며 콧노래 흥얼거리다가 돌아올랍니다(莫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
이제까지의 분위기와 전혀 다른 대답이었다. 다른 제자들이 ‘에이, 그게 뭐야?’라며 비웃음을 흘리려는 순간, 공자가 감탄사와 함께 입을 열었다.
“오! 그것 참 멋진 생각이로구나! 나도 거기에 끼워다오!”
공자를 감탄하게 만든 증점의 계획, 세상에서 가장 멋진 봄날을 위한 계획이 아니겠는가.
눈이 부시도록 화창한 봄날, 당신의 계획은 무엇입니까?
<이도환 / 아동문학평론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