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적 뮤지컬 인디영화의 승리
2007년 트랜스포머, 스파이더맨3 같은 블록버스터가 극장을 휩쓸고 있을 때, 작은 영화 한편이 조용히 빛을 냈다. 1억원 남짓으로 만들어진 디지털 영화 ‘원스’다. 인공적이거나 화려하지 않는 사실적인 뮤지컬 영화라 할 수 있다.
이름 없는 무명 음악가(글렌 한사다드)는 거리에서 기타를 연주하며 근근이 생활을 해나가는 뮤지션이다. 어느 날 그녀(마르게따 이글로바)가 그 앞에 나타난다. 거리를 걷다 우연히 보게 된 무명음악가에게 시비를 거는 그녀, 진공청소기를 고친다는 이야기를 듣고 다음날 고장 난 청소기를 끌고 나온다. 진공청소기를 끌며 데이트를 하는 두 사람. 피아노 가계에서 피아노를 치는 그녀의 모습을 보고 반하는 그는 조금씩 사랑에 빠져든다. 하지만 두 사람은 사랑하는 마음을 감춘 채 서로 노래를 부르고 피아노를 칠 뿐이다. 결국 그가 음반을 낼 수 있도록 그녀가 도와주고, 그는 그녀에 대한 사랑을 가슴속에 담은 채 런던으로 음반을 들고 떠난다.
“함께 노래를 부르고 연주하는 것만으로도 만족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해 아트필름 뮤지컬을 만들고 싶었다”는 감독의 말처럼 ‘원스’는 아일랜드 더블린의 거리에서 기타 하나 달랑 메고 연주하는 간단한 뮤지션의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다루고 있다.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음악은 두 사람의 감정을 섬세하게 표현해낸다. 말하지 않지만 느껴지는 감정은 차곡차곡 쌓여서 손을 잡은 것이 전부인 두 사람의 사랑을 가슴 시리도록 안타깝게 만든다. 음악에 대한 영화가 아니라 음악을 배경으로 섬세하게 쌓여가는 러브스토리가 가슴속에 와 닿는다. “때로는 음악이 말보다 더 큰 감동을 선사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존 카나 감독의 말이 스크린 속에 감동이 펼쳐진다. 9000만원의 돈과 14일만에 완성한 저예산 영화는 몇 천만 불의 영화가 만들어내지 못한 희열을 만들어낸다.
소박한 영화 ‘원스’는 ‘시카고’, ‘물랑루즈’ 같은 화려한 뮤지컬 영화가 주지 못했던 따뜻한 감정이 음악과 함께 꿈틀거린다. 보통 뮤지컬 영화는 음악과 춤에 집중하며 사실성의 결여로 관객의 감정동요를 쉽게 몰입시키지 못한다. 하지만 ‘원스’는 직접 옆에 보는 것 같은 사실성과 관객의 심금을 울릴 정도로 호소력 있는 음악으로 감정동요에 성공했다. 음악과 사실성의 유기적 관계가 대작 뮤지컬 영화가 놓쳐버리기 쉬운 사랑의 섬세함을 표현하였다. ‘원스’는 뮤지컬 영화의 본질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차원의 뮤지컬 장르의 즐거움을 선사하고 있다.
〈손광수 / 시나리오 작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