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15 격주간 제664호>
< Cinema & Video > 기억되는 음식 없는 화려한 진수성찬

식    객

잔치 집에 갔다 오면 기억에 남는 음식 하나쯤은 있기 마련이다. 잔치 상에 올라온 여러 음식보다는 혀끝에 계속해서 맴도는 음식이 그 잔치의 중심이다. 아쉽게도 ‘식객’은 극장을 나올 때 특별히 떠오르는 음식이 없다. 화면에 스쳐지나갔던 수많은 음식 중 ‘뭐가 먹고 싶어’라는 욕망을 자극하지 못한 채 영화는 끝난다.
궁중요리의 전통을 이어온 운암정은 최고의 요리사만이 그 수장이 될 수 있다. 운암정의 대를 잇기 위해 두 명의 요리사 성찬(김강우)과 봉주(임원희)가 맞붙고, 성찬의 복요리에서 독이 발견되는 사고로 봉주가 운암정의 후계가자 된다. 5년 후 조선 최고의 요리사인 대령숙수의 칼이 발견되고, 칼의 주인을 가리는 요리대회가 개최된다. 성공을 위해 물불을 가리지 않는 봉주와 실수를 되돌리고 싶은 성찬. 그들은 최고의 자리를 놓고 진검승부를 벌이게 된다. 이들 곁에서 요리대회를 취재하던 VJ 진수(이하나)는 성찬과 봉주의 대결이 조선말기 그들의 할아버지 때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고 추적을 시작한다.
작년 허영만의 만화 ‘타짜’가 영화화 되면서 흥행에 성공했고, 올해는 ‘식객’이 영화화됐다. 혀영만의 만화가 영화에서 성공할 수 있는 이유는, 그의 만화는 모두 현실에 있는 이야기를 끊임없는 인터뷰와 자료조사를 통해서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허황되고 현실에서 벗어난 이야기를 다루는 장르인 듯한 만화에 현실을 세밀하게 담고 있는 것이 허영만 만화의 특징이다. 그런 면에서 허영만 만화는 기본적으로 영화적으로 직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야기의 구성적 측면을 본다면 2시간 영화에 맞게 되어 있지 않다. 영화 ‘식객’의 안타까움은 바로 이부분에서 느껴진다. 바로 음식을 보여주지만 음식에 영화적 드라마와 구성을 녹이는 것은 실패했다는 것이다.
‘식객’의 주인공 성찬은 대회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끌어 갈뿐, 자신의 삶에 대한 고민이나 이야기 추적엔 뒷전이다. 그렇다고 해서 자신의 가슴에 남아 있는 특별한 음식이 있는 요리사도 아니다. 그냥 주인공이란 작위를 수여받은 인물처럼 움직인다. 그와 맞대결하는 봉주 역시 때론 코믹하기도 하고 때론 공포스럽기도 하지만 거기서 끝난다. 영화 ‘타짜’의 인물들을 생각하며 ‘식객’을 본다면, 같은 만화가의 인물들을 영화적으로 어떻게 녹여야하는 지 해답을 찾을 수 있을 듯싶다. 수많은 음식은 있으나 특별히 젓가락이 가고 싶은 곳은 없는 것이 아쉬운 영화다. 음식 영화라면 음식하나 쯤 기억하고 나오는 것이 미덕인 듯 싶은 데 안타깝다. 〈손광수 / 시나리오 작가〉

목록
 

간단의견
이전기사   1년 동안 갈고 닦은 실력 뽐내
다음기사   유공자 표창 · 회원 33명에 장학금